[들에서 보낸 사계]호수를 걷다, 나이가 든다

들에서 보낸 사계 #4



춥다. 겨울이 춥고, 철원은 더 춥다는 것을 알면서도 이 추위는 언제나 낯설다. 며칠 전 영하 20도를 밑도는 밤이 지나고, 차가 꽁꽁 얼어붙었다. 다음날 평생 2분도 안 쓴 헤어드라이어기로 두 시간 동안 차를 녹이면서 이 말이 떠올랐다. 가난과 추위는 익숙해지지 않는다! 이번 추위가 갑작스럽게 느껴진 건 다 이유가 있다. 가을이 지나고 겨울이 오기까지 쉴 새 없이 일했기 때문이다. 12월이 훌쩍 지나서 일을 다 마치고 좀 쉬려니, 어느덧 추위는 내 곁에 와 있었다.


올해 처음 영하로 떨어진 것은 11월 첫날이다. 다이어리에 적어놓은 것은 아니지만, 다음날 서리태(검은 콩)를 주우러 갔기에 또렷이 기억난다. 냉정리 논 주변에 심어놓은 콩을 꺾어서 집으로 가져오는데, 이미 깍지가 벌어져 수둑히 떨어져 있는 것을 봤다. 마음 같아서는 눈 딱 감고 모르는 척하고 싶었지만, 집에 와서도 눈앞에 아른거렸다. 꽁꽁 언 손으로 한나절 주웠더니 냉면그릇으로 하나 정도 나왔다. 이걸 사먹고 말지, 헛웃음이 나왔지만 마음은 편했다.



11월이 되면 시골에서는 김장 일정 잡는 게 일이다. 여름에 심은 무와 배추, 파와 쑥갓 등이 거의 다 자랐을 때 부는 찬바람은 김장을 할 때라는 자연의 알림이다. 김치 얼마나 먹느냐고, 제발 좀 줄이자고 해도 평생 그 일을 귀하게 여겨온 어머니는 올해도 푸짐하게 김치 잔치를 벌였다. 작년엔 멋모르고 무, 배추를 나르던 딸(5살)은 벌써 다 컸다고 김장을 안 한다. 작년에 했는데 왜 또 하냐고, 자기는 하기 싫다고. 하긴 먹지도 않는 김치를 억지로 담게 할 순 없다.


벼 수확은 일찌감치, 수월하게 끝났다. 모든 농사가 그러면 좋겠지만, 쉽기만 하면 그게 어디 농사겠는가. 들깨, 노란 콩 등을 탈곡하기 위해 마당 가득 쌓아놓고 장비를 돌린다. 엄청난 소음과 이에 질 세라 피어나는 먼지. 몇 시간 동안 아무 말도 할 수 없다. 먼지투성이가 되어 코를 풀면 흙빛과 똑같은 콧물이 나온다. 추수의 흔적이 고스란히 남은 마당은 전쟁터 같지만, 깨끗한 깨와 콩을 보면 수확의 기쁨 같은 게 느껴진다. 나도 이제 농부가 되려나 보다.



논과 밭에 있던 모든 게 사라져도, 일은 끝난 게 아니다. 농사는 올해만 짓는 게 아니니 내년 봄을 준비해야 하지 않겠는가. 고추밭 정리할 때 고추지지대를 뽑는데, 꽁꽁 얼어붙은 땅에 박혀 있어 쉽게 나오지 않는다. 허리가 아플 정도로 온 몸에 힘을 줘서 뽑다보면 감사하게도(?) 추위는 싹 잊게 된다. 김장을 끝내고 심은 마늘을 볼 때마다 안타까운 마음이 든다. 비닐을 덮고는 있지만, 얼마나 추울까. 긴 겨울을 보내고 올라오는 마늘 싹을 보면 늘 뭉클하다.


사람들은 11월부터 “이젠 좀 한가해졌지?”라고 물었다. 아니라고 하면 말이 길어져 그냥 그렇다고 답한다. “역시, 농사가 최고야”라는 소리를 들으면 좀 그렇기도 하지만, 누구나 힘든 일은 있으니까(전쟁 치르듯 하루를 사는 이 땅의 사람들에게 진심으로 연민을 느낀다).



몸과 마음이 치진 사람에게 필요한 것은 혼자만의 시간이다. 언제, 어디로 떠날까라는 고민조차 사치로 느껴질 때, 산정호수가 떠올랐다. 가까워 특별하진 않지만, 갈 때마다 위로가 되었던 곳…….


산정호수, 좀 식상한 느낌이다. 너무나 많이 들어봤고, 수도권에 산다면 웬만하면 한 번씩은 가봤을 곳이기 때문이다. 사실 상동 주차장에 차를 세우고 들어갔을 때 눈에 들어오는 풍경들(유서 깊은(?) 놀이공원과 즐비한 음식점들)은 썩 매력적이지 않다. 하지만 한 가지 묻고 싶다. 혹시 조각공원에서 잠깐 바라본 산과 호수가 그대가 경험한 산정호수의 전부이지는 않은가? 만약 그렇다면 그대는 이곳에 와보긴 했지만, 산정호수를 다 안다고 절대로 말할 수 없다.


그동안 산정호수에 백 번도 넘게 왔다. 다른 사람들과 다른 시간에, 각각 머문 곳도 달랐다. 오늘은 자인사를 지나 허브 온실 카페가 있는 곳에서 산책을 시작하기로 했다. 별다른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지만 한 해의 마지막을 조용히 보내고 싶었다. 차를 타고 소나무 가득한 길을 지나면서 언젠가 이곳을 걸었던 기억이 떠올랐다. 소나무는 어둠 속에서도 근사하게 빛났고, 그 사이로 맑은 달이 비쳤다. 그 순간 그곳은 오롯이 그 길을 걷는 사람만의 공간이 되었다.



어지러운 음식점 간판을 지나니 넓게 펼쳐진 호수가 보였다. 이번 주 계속된 강추위에 다 얼었겠지 했는데, 아직 가운데는 물결이 일렁이고 있었다. 물론 가장자리에서 시작한 얼음의 기세는 무섭다. 얼마나 두꺼운지 가늠이 되지 않는다. 그 속에 몸을 처박고 있는 나무들이 많다. 뿌리는 산에 박혀 있는데, 가지는 물에 들어가 얼음이 되었다. 할 수만 있다면 몸을 일으켜 다른 곳으로 가지 않았을까. 멀리 물 위에서 춤추는 햇살이 이 나무를 어루만져주면 좋겠다.


산과 호수 사이에 난 산책로가 산정호수의 백미다. 많은 사람들이 멀리서 보고 그냥 돌아간 길, 자연은 준비된 자에게만 은혜를 베푼다. 산 모양대로 구부러진 길은 걷는 이의 발걸음을 느리게 하고, 때로는 산에서, 때로는 호수에서 부는 마음은 그 마음을 새롭게 한다. 이 길엔 뿌리가 드러난 나무가 많다. 사람들이 밟고 지나가도 아무 말 하지 않고 자신을 더 단단하게 한다. 비에 흙이 쓸려 뿌리가 드러난 나무도 있다. 하지만 생에 대한 의지는 사라지지 않았다.



산길을 지나고 폭포를 건너면 호수 너머 명성산이 한눈에 보이는 김일성 별장터가 나온다. 생전에 김일성이 쉬기도 하고, 작전 구상도 했단다. 한때는 최고 지도자가 되어야나 볼 수 있었던 풍경 앞에서 그와 나를 생각한다. 그때 그는 지금 나처럼 좋은 차를 타지도, 신문물을 경험하지도 못했겠지. 어쩌면 인류 역사상 최상위 클래스의 삶을 살고 있는 나일 텐데, 오늘도 삶에 치여 허덕이고 있다니. 방금 전에 본 ‘추락주의’란 말은 내 삶을 향한 경고가 아닐까.


어느덧 호수를 한 바퀴 다 돌았다. 드라마 <낭만닥터 김사부>에 나온 돌담병원을 지나면 <신데렐라 언니>에 나온 길이 나온다. 뚜벅뚜벅 걷다보니 호수의 끝에 도착한 것처럼, 하루하루 살다보니 한 해의 끝에 다다랐다. 정신없이 바쁘게 살긴 했는데, 과연 잘 살았을까? 발아래, 얼음 위에 핀 눈꽃이 눈에 확 들어왔다. 소나무 가지 위에 피었던 것이 떨어졌으리라. 이것이 한 해를 열심히 산 나에게 주는 산정호수의 선물이라고 착각하니 마음이 한결 따뜻해졌다.



시골에서는 겨울에 돌아가시는 분들이 많다. 꼭 죽음을 맞는 것은 아니라도 연로한 어른들이 확 늙는다. 혹시 이 계절이 나이테처럼 인간의 삶에도 선을 긋는 게 아닐까. 이제부터라도 매년 삶을 돌아보며 선명한 흔적을 남겨야겠다. 그러고 보니 산정호수는 나무의 몸통을 닮았고, 나의 발걸음은 선을 그리고 있었다. 어느덧 나이 값을 똑바로 해야 할 사십대가 되었다. 사진으론 닮을 수 없는 웅장한 명성산을 올려 보며 내년 오늘 이곳에 다시 올 것을 약속했다.





글/사진 농촌총각

인생의 절반에서 새로운 기회가 한 번은 더 올 거라 믿는 농부. 좋은 책, 음악, 영화, 사람들로 가득한 문화창고를 꿈꾸고 있다.
mmbl@naver.com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