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 책방][재즈 시대의 메아리] 헤밍웨이의 기억, 『파리는 날마다 축제』를 읽고

책과 책방 특집호 #1

SPECIAL : 재즈 시대의 메아리



『파리는 날마다 축제』는 1957년 가을에서 1960년 봄 사이에 헤밍웨이가 자신의 젊은 시절인 1921년에서 1926년까지의 파리 생활을 회고하며 쓴 글을 모아 놓은 책이다. 원제는 Moving Festival. 파리로 자발적 망명을 떠난 무명의 젊은 작가 헤밍웨이가 남긴 발자국들로 가득하다. 풍요와 낭만, 자유로움을 대표하던 1920년대의 수많은 예술가들이 사랑해 마지않던 도시 파리, 그곳의 풍경과 그 시절 예술가들과의 일화를 젊은 헤밍웨이의 목소리를 빌려 들을 수 있다. 그저 낭만적인 도시가 아니라 가난하고 미래가 불확실하지만 작가라는 꿈을 향해 현실에 꿋꿋이 한발을 디디고자 했던 한 청년의 다양한 감정들이 밀도 높게 흩뿌려져 있다.


뤽상부르크 공원에는 배고픔을 참으며 산책을 하던 그가 있고, 깊고 텅 빈 밤의 카르디날 르무안 거리의 춥고 허름한 아파트에는 창문 너머로 서로 어깨를 부비는 지붕들을 바라보며 무엇 하나 단순하지 않은 삶을 고민하는 그가 서 있다. 햇살이 환하게 내리쬐는 한낮의 몽파르나스 거리의 카페에도 펜과 노트를 한시도 놓지 않고 한 줄의 진실한 문장을 찾아 엄격하고 치열하게 한 줄 한 줄 글을 써 내려 가는 진지한 표정의 그가 있다.


그래서 이 책은 독특하고 신선한 파리 안내서다. 이 책의 페이지들을 천천히 넘기며 헤밍웨이가 즐겨 찾던 장소와 함께했던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듣고 있다 보면 마치 1920년대의 예술가가 되어 한 세기 전의 파리로 시간 여행을 떠난 듯한 기분이 든다. 



1920년대, 파리를 중심으로 문학, 미술, 영화 등 예술 전반에서 주목할 만한 변화가 일어났다. 이 책에는 헤밍웨이를 비롯해 거트루드 스타인, 제임스 조이스, 실비아 비치, 에즈라 파운드, 스콧 피츠제럴드 등 각주를 따로 살펴봐야 할 정도로 많은 당대의 작가 및 출판인, 예술가들이 등장한다. 그들은 저마다 다른 이유로 고국을 떠나 파리로 왔고, 거트루드 스타인의 집과 몽파르나스 거리에 위치한 라 클로즈리 데 릴라, 돔, 셀렉트 등과 같은 카페, 오데옹 거리에 있던 셰익스피어 앤드 컴퍼니 서점에서 스치고 만나고 싸우고 이야기한다. 온갖 생각이 마주치고 서로의 존재가 춤을 추듯 대결한다. 이들의 흥미진진한 대화는 1920년대가 품은 실로 다양한 층위의 삶과 사람 사이의 영향력이 얼마나 대단했는지를 보여준다.


스콧 피츠제럴드를 비롯한 동료 문인들에 대한 라이벌 의식이 강해 날카로운 험담과 비방을 자주 했던 점이나 스콧 피츠제럴드의 아내인 젤다를 남편의 글쓰기 작업을 방해하는 낭비벽이 심하고 정신병을 가진 악처로 비난하며 작가로서의 능력을 인정하지 않았던 점 등은, 예들 들어 『젤다』 같은, 그의 기억과 상반되는 내용의 책들을 참고해야 했다. 


헤밍웨이는 한 인터뷰에서 자신에게 파리는 영원히 기억될 도시이며 어떤 모습으로 변하든 평생 파리를 사랑한다고 말했다. 아마도 그는 파리에서 보낸 자신의 젊은 시절을 인생에서 다시 오지 못할 아름다운 한 때로 기억했던 것 같다. 책 마지막에 나오는 글인 「나다 이뿌에스 나다」는 말년에 육체와 정신 기능이 퇴행하는 고통에 시달리던 헤밍웨이가 자살하기 석 달 전에 쓴 글이라고 한다. 원하는 바가 있으면 위험이 따르더라도 직접 뛰어들고야 말았던 탓에 그의 인생에는 영광 못지않게 비참한 후회도 많았다. 그 모든 선택을 거쳐 육체와 정신이 붕괴된 흔적이 역력한 말년을 맞이한 자신을 돌아보며, 이제는 찾을 수 없는 삶을 향한 의지나 완전무결한 이상, 진실한 한 줄을 쓰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과 절제를 되새겨 본다. 그래서 파리는 넘치는 이상으로 날마다 축제 같았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그의 진실한 기록이라기보다 그의 지난 삶에 그가 되고자 했던 이상을 덧칠해 그리는 자전 소설에 가깝다.





- 글 우영선


0 0